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6

고혈압의 예방, 관리 및 치료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중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은 고혈압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즉, 고혈압은 우리나라 국민의 주요 사망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 정상 혈압이었던 사람도 동맥경화로 인해 고혈압으로 될 수 있고,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고혈압이 된 경우도 있습니다.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라는 별명처럼 우리 몸에서 천천히 장기간에 걸쳐 발병합니다. 즉, 정상 혈압이 '고혈압 전단계'를 거쳐 '고혈압'으로 발전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고혈압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정확한 혈압을 측정하고 가능한 정상 혈압을 유지하며 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리를 해야 합니다. 1. 고혈압의 예방 수축기 혈압이 120~139mmHg,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인 사람은 고혈압 환자.. 2023. 1. 25.
대사증후군의 진단, 예방 및 관리 대사증후군(Metabolic Syndrome)이란 생활습관병에 해당하는데, 복부비만, 높은 혈압, 높은 혈당, 높은 중성지방 혈증, 낮은 HDL 콜레스테롤 혈증 등 증상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로, 질병 전 단계를 말합니다. 이를 방치하면 심뇌혈관질환, 만성신장질환 등 성인병으로 발전하게 되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기까지 합니다. 따라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대사증후군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이 꼭 필요합니다. 1. 대사증후군의 진단 아래 5가지 진단기준 중 3가지 이상 해당할 경우, 대사증후군이라 합니다. 즉, 복부비만(허리둘레 남자 90cm(35인치) 이상, 여자 85cm(33인치) 이상), 높은 혈압(수축기 혈압 130mmHg 이상 또는 이원기 혈압 85mmHg 이상이거나 고혈압 치료제 복용).. 2023. 1. 24.
건강과 체력 체력이란 일상생활이나 신체활동을 할 때 우리 몸이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합니다. 크게는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신체활동의 종합적 능력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체력은 건강의 지표로서 아래와 같이 인간의 연령별로 청소년기, 성년기, 노년기에 각기 다른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건강체력기준은 우리의 생애주기별 건강특성을 반영한 체력기준으로서 성인기 건강체력기준은 대사증후군 등의 질병 위험을 낮추도록 권고하는 체력기준이고, 노인기 건강체력기준은 타인의 도움 없이 일상생활을 스스로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체력기준을 말합니다. 좀더 상세하게 풀이하자면, 성인기의 건강체력기준은 주로 건강증진 및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한 것으로서 심폐지구력(걷기, 조깅, 수영 등), 근력 .. 2023. 1. 24.
신체활동과 건강관리 우리는 여러가지 신체활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습니다. 우리의 몸은 수많은 움직이는 부분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마치 기계처럼 각 부분이 잘 작동하도록 유지해야 전체적으로 원활하고 활기찬 신체활동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들은 더 오래 그리고 더 건강하게 사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체활동을 통해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도록 노력해야 하며, 이러한 신체활동은 아래와 같이 여러 방면에서 건강관리에 도움을 줍니다. 1. 신체적 건강관리 당신이 일정한 신체활동을 당신의 일상 생활의 일부로 만들 경우, 당신은 매일 일상을 영위하는데 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갖게 됩니다. 신체활동은 당신의 심장과 폐가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당신의 뼈를 더 강하게 만듭니다. 또한 신체활동은 당신의 근육과 뼈가.. 2023. 1. 23.